■ 신청사 원설계, 유걸 ‘아이아크 건축가들’ 공동대표
   

 

서울시 신청사의 콘셉트를 설계한 유걸 아이아크 건축가들 공동대표(72). 그는 “시청 앞 서울광장도 신청사에 어울리도록 바닥 디자인과 조경을 바꾸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일반 건축물과 달리 공공건물은 불특정 다수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광장 같은 곳이다. 서류를 떼러 오고, 약속 장소로 활용하거나 그냥 지나가는 사람도 있다.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이 수평의 광장이라면 신청사는 광장이 벽을 따라 올라간 수직 광장이다.”

2008년 3월 착공한 지 4년여 만인 8월 말 완공되는 서울시 신청사의 원설계자 유걸 아이아크 건축가들 공동대표(72)의 말. 그는 7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신청사의 신관 건물 내부 위쪽에 커다란 원형 공간 3곳을 다목적용으로 띄워 놓은 것도 다양한 사람이 다용도로 활용하는 광장의 콘셉트를 구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비 3000억 원을 들인 서울시 신청사는 옛 시청 건물을 복원한 본관(지하 4층, 지상 5층)과 삼각형 유리 7000여 장으로 외벽을 지은 신관(지하 5층, 지상 13층)이 앞뒤로 살짝 비켜서서 짝을 이루는 모양새다. 본관은 시민들을 위한 서울도서관으로, 신관은 공무원들의 사무실과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한다.

 

―지난달 말 공사용 가림막이 벗겨지고 신청사의 모습이 드러나자 반듯한 석조 건물인 본관과 역동적인 유리벽 건물의 동거가 어색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건축은 과거의 연장이나 과거와의 조화가 아니다. 새로움을 첨가하는 작업이다. 본관 건물이 지어졌던 일제강점기와 지금은 우리의 가치관이나 물리적 환경이 다르다.”

―신관 윗부분이 크게 튀어나와 거대한 파도가 본관을 덮치는 느낌을 준다는 지적이 있다.

“가운데 서서 가로막고 있는 구청사 너머로 서울광장과 대화하려다 보니 신관 건물이 안간힘을 써서 고개를 내밀게 됐다. 결과적으로 재미있는 설계 아닌가. 신관이 구청사를 극복하려 애쓰는 모양새인데, 이는 일본과의 과거 청산이 이뤄지지 않아 일본과 관련된 이슈에 과도하게 반응하는 우리 사회를 반영하는 듯하다.”

―신관 건물의 유리 재료는 에너지 낭비의 주범으로 지목된다.

“더운 기운이 위로 빠져나가 환기가 잘되도록 설계했다. 튀어나온 처마가 여름엔 차양 역할을 하고, 겨울엔 해가 낮게 떠 볕이 잘 들어온다. 유리는 현대가 제공하는 가장 좋은 재료다. 가벼워지는 건축의 새 경향을 구현할 수 있는 재료이기도 하다.”

 

8월 말 완공을 목표로 막바지 작업 중인 서울시 신청사의 옆모습. 옛 청사를 복원한 본관 앞 서울광장과의 연계를 강조하기 위해 유리로 된 신관 건물의 위쪽과 아래쪽 부분을 광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설계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서울시 신청사를 둘러싼 가장 큰 논란거리는 원설계자와 실시 설계자가 다르다는 점. 이는 신청사가 설계 시공 감리를 한꺼번에 맡기는 턴키방식으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건설사가 제시한 디자인이 전문가들의 심의에서 계속 떨어지자 서울시가 별도의 현상 공모를 통해 유 대표를 설계자로 지정했다. 하지만 유 대표는 콘셉트 디자인을 했고, 이를 건축 과정에서 구현하는 작업은 건설사가 맡았다. 이 때문에 건축물의 ‘호적’인 건축대장엔 유 대표의 이름이 올라가지 않는다.

“내가 설계는 했는데 짓지는 않은, 이상한 상황이 돼 버렸다. 실시 설계에서 3차원 설계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측면은 있지만 내 콘셉트는 유지됐다. 시민들이 내가 상상하지 못했던 창의적인 방식으로 신청사를 이용해줬으면 한다.”

이진영 기자 ecolee@donga.com

Posted by iarc
,

2010년 4월16일자 동아일보 A20면에 "배재대 교정은 살아있는 건축교과서"

라는 기사와 사진이 실렸습니다.



개성있는 명품 건축물 즐비
주변 환경과 조화…상복터져
전국 건축학도 견학코스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배재대의 건축물들. 위에서부터 신학관, 유아교육센터, 국제언어생활관, 예술관, 국제교류관. 사진 제공 배재대

부산 동아대 건축학부 이성호 교수는 최근 학생 150여 명과 함께 대전 서구 도마동 배재대를 방문했다. 캠퍼스에 들어선 명품 건축물을 둘러보기 위해서다. 이 교수는 “건물마다 특성이 뚜렷하고 주변 환경과도 조화를 이뤄 학생들에게 살아 있는 교과서를 보여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들과는 별도로 방문한 경기대 김해종 건축팀장은 “신축 건물 설계에 앞서 설계사무소 관계자와 같이 방문했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배재대가 전국 건축학도들의 필수 견학 코스로 자리 잡고 있다. 학교 측은 지난해와 올해 전국 32개 대학 건축학과 학생 1000여 명이 공식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건축업 종사자와 건축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의 방문도 늘면서 ‘건축 기행’ 명소로도 부상하고 있다.

건축학도들의 교재 역할을 하고 있는 화제의 건축물은 1995년 완공된 21세기관, 2005년 세워진 예술관과 국제교류관, 2007년 문을 연 국제언어생활관, 올해 6월 준공 예정인 신학관과 유아교육센터 등 6개 건물이다.

21세기관 설계자는 ‘그레이트 하노이’ 프로젝트를 수행한 부대진 진아건축 회장, 예술관은 미국 건축가협회 본상 수상자인 조병수 미국 몬태나주립대 교수와 김수근 건축상을 수상한 유걸 아이아크건축 공동대표이다.

21세기관은 대전지역 공공건물 중 처음으로 1층에서 5층까지 통으로 뚫린 중앙홀을 도입해 자연광이 자연스럽게 건물 내부로 들어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예술관은 별도의 토목공사를 하지 않고 자연지형을 그대로 살려서, 국제교류관은 기존 지형을 복원한 뒤 경사지를 그대로 활용해서 지었다.

상복도 터졌다. 21세기관은 대전시건축문화대상, 예술관과 국제교류관은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과 특선을 받고 ‘아름다운 건축물’로도 잇달아 선정됐다. 국제언어생활관은 대전충청지역 건물 가운데 최초로 한국건축문화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6월에 완공되는 신학관과 유아교육센터도 독특한 건축기법과 설계로 벌써부터 각종 건축상 수상을 예고하고 있다. 배재대 정순훈 총장은 “대학건물은 고유의 기능뿐 아니라 교육적인 의미를 가져야 한다”며 “우리 대학을 찾는 많은 사람이 건축물에서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Posted by iar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