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06. 30 [한국일보] 서울 신청사 관련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10월 서울시민들에게 공개될 서울시 신청사에 담긴 핵심 가치는 공공성과 개방성 두 단어로 요약된다. 전체 연면적 9만788㎡ 중 업무용 공간으로 배정된 부지는 2만7,139㎡(30%)에 불과하다. 나머지 공간의 40%가 서울시민을 위한 '서울시민청'과 휴식 공간 등으로 사용된다.
이는 박원순 시장의 시정 철학이 반영된 결과다. 당초 서울시 신청사의 입주를 포기하고 매각이나 임대를 통해 시의 채무를 줄이거나 신청사를 통째로'서울시민청'으로 삼아 시민들에게 개방하려던 박 시장의 구상은 내부 반대에 부딪쳐 실현되지 못했다. 대신 업무 공간의 비중을 대폭 줄이고 시민들을 위한 다목적 공간으로 배치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1926년 10월 일제가 총독부 기관지였던 경성일보 사옥을 헐고 건축한 경성부 청사가 86년 만에 서울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게 된 것이다. 서울시 신청사의 핵심 공간 중 하나는 '서울시민청'이다. 서울시가 올해 1월부터 3개월 간의 용역 연구 끝에 기존의 시티갤러리를 전면 수정한 것이다. 지하철 1호선 시청역과 2호선 을지로입구역ㆍ을지로지하상가 등과 연결된 서울시 신청사의 지하 1ㆍ2층 7,842㎡에 자리잡은 서울시민청은 열린 공간을 표방한다. 이를 위해 시민청에는 결혼식 등의 행사를 치를 수 있게 설계된 300㎡ 규모의 '이벤트 홀'을 비롯해 시민 장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시민 플라자' 등이 들어선다.
또 디지털 첨단 기술을 활용해 시민청의 천장 공간에 영상 전시를 할 수 있도록 한 '뜬구름 갤러리'와 벽면에 영상물을 상영할 수 있게 한 '담벼락 미디어', 신청사 과정에서 발굴된 88건의 유물과 석축 등을 전시한 '유구 갤러리'도 들어선다. 이에 대해 안준호 시민소통기획관은 "서울시민청은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외국 관광객까지 모든 방문객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소통의 공간으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신청사에는 시민청 외에도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공간이 존재한다. 지상 8ㆍ9층에는 536석 규모의 다목적 홀이 배치됐고 8ㆍ9ㆍ10층의 나머지 공간에는 서울광장을 내려다 보며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전망대 및 휴게실의 기능을 갖춘 '하늘광장'이 948.85㎡ 규모로 자리한다.
한편, 신청사 1층에는 시민들의 민원을 담당하게 될 다산플라자와 장애인복지과가 배치됐다. 2층부터 11층까지의 업무 공간에는 주택정책실, 복지건강실, 여성가족정책실, 도시도시안전실 등 시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련 부서들이 입주한다. 이외 서울시 신청사에 입주하지 못하는 나머지 서울시 본청 기관들은 서소문 별관으로 이전한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시민과 소통하는 측면이 강한 본청 기관들을 우선적으로 배치했다"며 "나머지 부서들이 서소문 별관으로 이주하게 되면 인근 빌딩 등에서 임대료를 내고 사용하던 '청사'가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신청사 앞에 있는 구관은 장서 20만권을 보유한 '서울도서관'으로 거듭난다. 지하 3ㆍ4층의 서고와 지상 1∼4층의 열람실로 구성된 서울도서관은 서울시내 133개 도서관을 연결하는 허브 도서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서울시 신청사의 이 같은 공간활용이 행정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허훈 대진대 행정학과 교수는"시민이 행정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개혁이 더 중요하다"며 "신청사 건립의 당초 목적에 맞춰 시민 공간비율과 사무실 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시의 또 다른 공무원도 "신청사 건립을 계기로 곳곳에 흩어져 있던 부서들이 한 자리에 모임으로써 행정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다"면서 "설계 당시부터 이점이 반영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털어놓았다.
김대성기자 lovelily@hk.co.kr
_서울시 신청사 - 옛청사를 잇는 연결통로가 이색적이다.
최흥수기자 choissoo@hk.co.kr
_1926년 일제가 총독부 기관지였던 경성일보 사옥을 헐고 건립한 경성부 청사. 철거 논란 끝에 보존하기로 했으나 신청사 설계에 걸림돌이 됐다는 지적이 많다.
_템스강 자갈 닮은 런던시청 vs 고층 위압감 도쿄도청… 조화와 부조화 '극과 극'
세계의 여러 시청 중에서도 현대적이면서 주변 옛 건축물과 잘 조화된 대표적인 건물로 많은 사람들이 런던시청을 꼽는다. 반대로 도심에 48층 높이로 우뚝 솟은 도쿄도청은 건축 20년이 지난 지금도 비난이 끊이지 않고 있다.
런던시청이 자리 잡은 곳은 템스 강변이다. 근처에 런던을 대표하는 19세기말 건축물인 타워브리지가 있다. 영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노먼 포스터가 강가의 자갈을 보고 착상을 했다는 런던시청은 한 번 보면 절대로 잊히지 않을 것 같은, 단순하지만 기발한 형태로 유명하다. 지상 10층(높이 45m) 건물의 각 층이 올라가면서 조금씩 밀려나도록 설계해 외부에서 보면 기울어진 달걀을 연상케 한다. 건물 한가운데를 틔워 나선형 계단으로 오르내리며 맨 아래층 회의장을 볼 수 있도록 설계했다.
첨단 현대 건축을 지향하면서도 런던시청은 이 도시의 상징과도 같은 템스강 주변 옛 건축이나 경관을 시각적으로 해치지 않는다. 런던시청은 2002년 준공 이후 눈에 익지 않아 이상하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단순한 형태가 시각적인 부담을 최소화한데다 기울어진 모양이 참신함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외부 전체를 유리로 만들었고 옛 건축물들과 인접하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주변과 조화롭지 못한 서울시 신 청사와 대비된다.
도쿄도청사는 일본 경제가 버블의 절정이던 1991년 기존 청사를 대신해 신주쿠에 새로 준공한 건물이다. 일본을 대표하는 건축가 단게 겐조가 설계한 이 건물은 잘 나가던 당시 일본 경제를 빼닮기라도 하듯 높고 거대한 모양(제1청사 48층 243m)으로 화제를 모았다. "국제도시 도쿄의 상징이 될 건물을 지어달라"는 도쿄도의 요구와 약 4만3,000㎡의 대지에 본청사와 회의동, 광장까지 설치해야 하는 공간적인 제약이 낳은 결과다.
도쿄도청을 두고는 건축 당시는 물론이고 지금도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도민에 가장 친근한 공간이어야 할 도청 외관이 주는 위압감, 1청사 외벽 전부를 수입 화강암으로 붙이는 등 공사비가 2조원을 넘어선 '버블' 건축이라는 지적이 계속됐다. 짓고 나서 20년이 지난 지금 빗물이 새는 등 문제가 발생해 3년 전부터 보수 공사를 시작했는데 10년 걸린다는 이 공사에 또 1조원이 넘는 돈이 들어간다. 도쿄도지사가 "짓고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이렇게 많은 돈을 들여 수리를 해야 하나"고 한탄할 정도다.
하지만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도쿄도청은 그 웅장함 때문에 도쿄의 '명물'이 되어 있다. 미슐랭 관광가이드에 호류지(法隆寺)와 나란히 별 3개를 받을 정도니 해외의 평도 나쁘다고만은 할 수 없다. 시간이 지나면 서울 신청사도 그런 평가를 받을까.
김범수기자 bskim@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