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06. 11 [세계일보] 서울 신청사 관련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신·구청사 ‘긴장된 공존’ 추구
-턴키방식 공사 설계반영 못해
-건설사 주도로 완성도 떨어져

 

서울시청사의 기초설계를 맡은 건축가 유걸(72·아이아크 대표·사진)씨는 신청사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개방성과 역동성이란 기초 설계 콘셉트가 건물 외부에 구현되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기초설계를 발전시켜 디자인을 완성하는 단계에서 관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애초 의도한 디자인 설계가 건물에 잘 구현되었나.

“건물 내부에서 보면 의도대로 됐는데 밖에서는 읽히지 않는다. 애초 ‘광장처럼 열려 있는 시청’을 만들고자 했다. 광장은 특별한 목적 없이도 드나들고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건물에 들어올 일 없는 사람들도 곁을 지나가면서 그런 열린 모습을 짐작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그렇지 못한 게 아쉽다.”

 

―새 청사가 ‘쓰나미(대형 파도)’ 같다거나 ‘구청사와 부조화하다’라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다.

“정적인 형태가 아닌 사람들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다이내믹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또 구청사는 문화재라 건드릴 수 없었다. 그런 조건에서 신청사와 광장을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상층부를 광장쪽으로 돌출시켰다. 또 구청사와 신청사를 동질적인 걸로 만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1926년 일제 때 건물을 만드는 이들의 의도·재료·기술과 2012년 한국이 가진 것들이 가장 극단적으로 대비돼 ‘긴장된 공존’을 이루었으면 했다. 철, 유리, 자유곡면을 많이 쓴 건 그런 맥락에서다.”

―청사 건설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설계과정이 불합리했다. 나는 전체의 3분의 2 정도는 관여하지 못했다. 특히 초기 콘셉트 디자인을 발전시켜 시공도서(시공사가 공사를 하는 데 쓰는 도면)를 만드는 과정에서 디자인대로 잘 풀어내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설계, 시공을 일괄도급으로 주는 턴키방식 때문이다. 턴키방식은 모든 게 정량적(定量的) 매뉴얼로 정해져 있고 효율 중심이다. 원 설계자의 처방을 받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시청은 정성적(定性的)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다. 회사의 얼굴인 사옥이나 미술관 등을 지을 때만 해도 턴키방식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김효실 기자 hsk@segye.com

 

Posted by iar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