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07. 06 [경향신문_오피니언_기고] 서울 신청사 관련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_이배화ㅣ한국건축미래설계원 건축학 박사

 

드디어 공사 가림막이 벗겨지면서 오랜 세월 숙원사업이던 서울시 신청사의 위용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그런데 완공되기도 전에, 신청사와 경성부청사 사이의 부조화를 비롯해 작품에 대한 질적 논쟁이 뜨겁다.

신청사를 설계한 유걸씨의 작품은 2008년 4명의 지명 건축가에 포함된 2차 아이디어 건축설계경기 응모안 중 당선작이며, 기존의 삼우건축사무소 안과 그 당시 경쟁했던 다른 3개의 계획안과는 다른 성격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필자의 생각으로, ‘수도 서울 신청사’는 오피스 건축의 속성을 뛰어넘어 사회학적 문화 콘텐츠로서 ‘한국적 이미지와 국가품격’을 자부하는 아이콘으로 차별화되어야 하는 독특한 프로젝트이다.

이런 맥락에서 5개의 계획안 중 건축가 유걸씨의 작품 발견은 다행스럽다. 그러나 작금의 다양한 평가들이 혼재되는 가운데, 필자는 그의 탁월한 디자인 전략에 대해 대부분 동의하고 찬사를 보내지만, 이 시점에서 여러 특단의 조치가 절실해 제안한다.

첫째로 경성부청사의 철거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해야 한다. 경성부청사야말로 조선총독부와 마찬가지로 진즉 부쉈어야 할 폐기물이다. 구청사가 있는 장소성은 민족정기가 경복궁 성지에서 조선 오백년 역사를 현현하다 서울 한복판 구청사로 뻗쳐와 드디어 세상, 즉 속역으로 확산되는 영적 신기(神氣)를 품고 있는 곳, 바로 국가의 중심부요, 시민의 마당이다. 도시의 기원신화가 서려 있는 이 영험한 곳에 식민통치의 잔재 중에서도 핵심이랄 수 있는 구청사를 문화재로 보존한다는 것은 식민지 타자의 종속주의적 망각증이다. 한반도에서 근대건축보존운동(도코모모 운동)은 제국주의 당사국이 아닌 피해자 입장이므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혹여 서울역 구역사, 한국은행 본점, 명동성당과 혼동해선 안되며 질적으로 가치도 없는 일상품 수준이다.

둘째로 통일된 조화의 미를 위해 후면부 콘텐츠를 수정해야 한다. 즉 후면 수직 그리드 형태는 정면 모양과 비교할 때 이질적인 반전이며 부조화의 극치라는 혹독한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발상이다. 양측면의 입면 구성 역시 균형감 있는 조화보다는 생뚱맞은 변화로 인한 가벼움으로 품격을 떨어뜨리고여러 곳에 어설픈 마감표현들도 애매하게 운신하고 있다. 전통건축의 DNA 요소를 3차원 이미지로 착안했다면, 그 메타포는 매스 전체의 내외부 공간에서 리듬과 켜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그들의 상호조화는 서울광장, 지상, 지하 등 일련의 4차원 수평동선의 영역적 특성화에 따라 넘나들고 관통하면서, 자연스럽게 여백의 공간전이와 중첩시켜 유기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통건축의 아름다움은 호방하고 모호한 자연경계에도 있다.이런 카오스적 동양사상은 일부 서구 건축가의 어법으로 응용되기 전부터 이미 서구 해체주의 철학의 기름진 토양이었다.

세번째로 새 청사의 기능 중 40%가 시민을 위한 편의시설로 공간배분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업무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시민의 불편과 세금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재고돼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새집을 지었으면 청사 기능을 한곳에 집중해 시정의 극대화를 꾀하는 게 우선 순리이고, 이것이 시민을 위하는 근본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아직 공사 중이므로 수정 보완할 수 있다. 현재 같은 볼썽사나운 시청사 이미지로 21세기 국민과 세계인들에게 헌정할 순 없는 일이다. 핫바지 역사는 핫바지 건축을 만든다. ‘건축’ 없이는 인간도 도시도 역사도 없다는 평범한 인식론적 가치를 거울삼아 만년대계의 통치행위를 역사 위에 펼치기 바란다.

 


 

 

Posted by iarc
,